다낭성 난소 증후군(Polycystic ovary syndrome)은 시상하부 / 뇌하수체 / 난소의 호르몬 이상으로 난소의 남성 호르몬 분비가 증가하여 배란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월경 불순, 다모증, 비만, 불임이 발생하고 장기적으로 대사 증후군과 연관되는 질환이다.
목차
다낭성 난소 증후군 정의
다낭성 난소 증후군(Polycystic ovary syndrome)은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의 호르몬 이상으로 난소의 남성 호르몬 분비가 증가하여 배란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월경 불순, 다모증, 비만, 불임이 발생하고 장기적으로 대사 증후군과 연관되는 질환이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 증상
일반적으로 생리 주기마다 대부분 하나의 난포가 약 2cm까지 자란 후 배란이 되고, 임신이 되지 않을 경우 2주 후 생리가 시작된다. 하지만 다낭성 난소 증후군 (Polycystic ovary syndrome) 은 작은 난포가 동시에 여러 개 발생하여 하나도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배란이 되지 않으므로 정상적인 월경이 시작되지 않는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증상으로는 비정상적인 월경(월경을 하지 않거나, 몇 달씩 거르거나, 월경이 아닌 시기의 출혈 등), 고안드로젠혈증으로 인한 다모증, 여드름 등이 있다. 배란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월경 불순이 발생하는 것이므로 불임이 될 수 있어 유의하여야 한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는 비만이 많이 동반되는데, 주로 허리, 둔부 비율이 증가하는 중심형 비만이 나타나며 당뇨병, 자궁내막 증식증 또는 자궁내막암과 같은 질환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 원인
아직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발병 원인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한 가지 원인만으로 발병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복합성 질환들처럼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발병에도 유전적 인자 및 환경적 인자가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인슐린 저항성, 안드로젠호르몬(남성호르몬) 과다혈증, 비정상적인 호르몬의 분비 등의 발생하여 생기는 내분비 질환으로도 볼 수 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 검사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진단 기준은 학회 별로 다양하며, 국내에서는 2003년에 발표된 로테르담(Rotterdam) 다낭성 난소 증후군 진단 기준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성인의 경우 다음 세 가지 기준 중 두 가지 이상에 해당하면 다낭성 난소 증후군으로 진단한다.
1. 희발 월경(월경주기가 35일을 초과하거나, 월경 횟수가 1년에 8회 이하) 혹은 무월경(3개월 이상 또는 세 주기 이상 월경이 없는 경우)
2. 임상적 남성호르몬 과다 증상(다모증, 여드름, 탈모) 또는 혈액검사로 확인된 남성호르몬 수치 상승
3. 질식 초음파에서 확인된 다낭성 난소 소견 (2~9mm의 작은 난포가 12개 이상 관찰되거나 난소의 부피가 10 cm3 이상인 경우)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일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 호르몬 검사,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한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 치료
임신을 원하지 않는 환자는 주기적인 호르몬 치료를 통해 규칙적인 월경을 유도합니다. 다모증, 여드름이 동반된 환자는 규칙적인 월경을 목적으로 피임약을 사용합니다. 임신을 원하는 환자는 배란유도제를 복용합니다. 무월경이 오래 지속된 환자는 자궁내막 증식증이 있을 위험성이 높습니다.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자궁내막이 두껍다는 소견을 확인하면 조직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체중을 감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체중감량
과체중 또는 비만 상태의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여성에게는 체중 감량이 일차적 치료법이 되어야 한다. 약 5% 정도의 체중만 감량해도 다모증과 여드름 등의 고안드로겐혈증에 의한 증상이 호전되고 생리 주기와 배란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2. 불규칙한 생리 주기의 교정
무배란에 의해 자궁 내막이 지속적으로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면 자궁내막 증식증이나 자궁내막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게 되고, 생리 주기나 횟수보다는 과증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더 중요하므로 어떠한 수단을 이용하여 생리를 유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흔히 이용되는 방법은 프로게스테론 제제나 경구용 피임제를 주기적,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이다.
3. 난임치료
다낭성 난소 증후군은 배란이 불규칙해지므로 임신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임신을 원할 경우에는 경구 배란유도제(클로미펜, 레트로졸)로 배란을 유도한다. 경구 배란유도제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일부 환자에게는 배란 유도 주사를 사용할 수 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은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없는 질환이지만 불임, 비만, 당뇨병, 심혈관 질환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자궁내막 증식증, 자궁내막암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진료 및 치료를 받는 것은 권장한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성 치매 증상 알츠하이머 혈관성치매 원인 치료방법 예방법 (1) | 2025.03.06 |
---|---|
병아리콩효능 영양성분 먹는방법 부작용 주의사항 통풍에 안 좋은 음식 (1) | 2025.03.01 |
혈액순환에 좋은 치료법 각탕법 수족냉증치료 족욕 효능 온도 방법 (0) | 2025.02.28 |
혈액순환이 안될 때 나타나는 증상 및 관리방법 혈액순환에 좋은 운동 (0) | 2025.02.21 |
아나필락시스 쇼크 증상 원인 치료방법 에피네프린 예방수칙 (0) | 2025.02.13 |